비점오염저감시설 소개
비점오염저감시설의 저감 원리, 구조 및 제원(諸元) 등을 포함한 설명서와 그 도면
가. 비점오염원의 정의
비점오염원이라 함은 도시, 도로, 농지, 산지, 공사장 등으로서 불특정장소에서 불특정하수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을 말한다. <법 제2조2호>
나. 오염물질의 종류
토사, 영양물질, 박테리아와 바이러스, 기름과 구리스, 금속(납, 아연, 카드뮴, 구리, 니켈 등) 유기물질, 제초제, 살충제 및 항곰팡이제, 협잡물
다. 비점오염물질 저감원리에 관한 설명
1) 비점오염저감시설이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는 원리, 시설의 개략도 및 순서도

2) 타 비점오염저감시설과 차별화된 기술적 특징
라. 비점오염저감시설의 구조 및 그 특성
1) 시설 전체 구조를 포함한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처리원리 및 시설 내부의 세부화 된 구조의 특성
마. 경제성
- 필터는 고밀도(HDPE) 입상 여재로 효율이 좋고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함 (10년)
- 섬유 필터에 비해 수명이 길고 역세척에 뛰어남
- 열을 가하지 않는 이상 변형이 없고 여재 교체가 필요 없음
바. 유지관리의 편리성
- 에코비젼21(ECO-TYPE) 필터재질은 둥근 원형으로 형성된 고밀도(HDPE)로써 유동성이므로 유지관리시 용이하게 설계되어 있음
- 필터는 Air line에 연결되어 역세척이 가능하므로 약 5분 가량 세척 후 반영구적 사용함
- 침전조와 여과조는 진공흡입을 통한 침전물 준설이 용이함(작업자가 탱크내에 진입하지 않아도 됨)
- 정체수 처리는 펌프를 통하여 오수관로나 폐수저장조로 이송토로 설계함
적용필터